Marketing

노코드와 AI로 전환율 높은 랜딩 페이지를 7일 안에 만드는 실전 가이드

userimage

Waveon Team

0 min read

읽기 목록

노코드 웹사이트 빌더로 AI 랜딩 페이지를 함께 제작하는 스타트업 팀의 협업 장면

새 캠페인을 시작하려는데 디자이너는 바쁘고, 개발자는 스프린트가 꽉 차 있고, 카피도 아직 정리되지 않은 상황을 한 번쯤 겪어보았을 겁니다. 그런데 런칭 날짜는 다가오고, 예산은 한정적이며, 무엇보다 학습을 위한 데이터가 필요합니다. 이럴 때 노코드 웹사이트 빌더와 AI 자동화는 “이번 주 안에 가능한가요?”라는 질문에 현실적인 “가능합니다”를 만들어 줍니다. 이 글은 여러분 팀이 7일 안에 전환율이 검증 가능한 랜딩 페이지를 만드는 방법을, 우리가 현장에서 반복해 온 방식 그대로 풀어낸 실전 가이드입니다. 필요하면 지금 바로 노코드 웹사이트 빌더AI 랜딩 페이지 생성기, 그리고 바이브 코딩 접근을 함께 세팅해 보세요.

이 과정의 핵심은 속도만이 아닙니다. 빠르게 만드는 만큼, 정확하게 배워서 다음 주를 더 잘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래서 아래의 흐름은 “빨리 만들고 빨리 학습해 개선하는” 루프를 전제로 합니다. 노코드 빌더와 AI 랜딩 페이지 생성기, 그리고 ‘바이브 코딩(Vibe coding)’ 같은 접근법을 활용하면 디자인과 카피, 개발, 분석을 한 트랙으로 엮을 수 있고, 팀 규모와 상관없이 일관된 결과를 낼 수 있습니다.

왜 지금 노코드와 AI로 랜딩 페이지를 만들어야 하나

많은 팀이 “완벽한 페이지”를 목표로 첫 주를 소모합니다. 하지만 전환을 끌어내는 요소는 정보 구조, 메시지-오퍼 적합성, 성능 같은 기본에서 결정됩니다. 노코드와 AI를 도입하면 이 기본을 빠르게 맞추고, 실험을 통해 섬세한 조정에 시간을 쓰게 됩니다. 특히 개발 의존도를 줄이면 수정 주기가 짧아지고, 카피와 디자인 변경이 실험 속도에 맞춰 따라옵니다. 결과적으로 같은 인력으로 더 많은 가설을 검증하고, 더 많은 학습 기회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캠페인 일정이 촉박할수록 계획과 실행의 간극이 치명적으로 커집니다. 노코드 빌더는 “오늘 합의한 내용이 오늘 빌드에 반영”되는 환경을 만들어 주고, AI는 빈 칸을 채우는 초안을 신속히 제공합니다. 여러분 팀이 하루 단위로 결과물을 확인하고 수정하려면 이런 도구 조합이 사실상 필수에 가깝습니다.

노코드와 AI 도입 시 프로젝트 타임라인을 검토하는 마케팅 팀의 회의 장면

실제로 웨이브온에서 본 성공 사례들은 공통적으로 “결정-빌드-리뷰” 사이클이 24시간 안에 돌아갑니다. 일정표 위에서 논의가 끝나면, 바로 그날 밤에 빌드가 반영되고 다음 날 오전에 팀 리뷰가 진행됩니다. 이 리듬이 만들어지면 캠페인 한 주가 “한 번의 대형 배포”가 아니라 “일곱 번의 작고 정확한 개선”으로 바뀝니다.

필수 도구와 자료: 노코드와 AI로 7일을 버틸 최소 스택

7일 안에 결과를 내려면 도구 선택이 복잡해서는 안 됩니다. 기능을 늘리려는 욕심보다 “오늘 바로 세팅하고, 내일 바로 실험할 수 있는지”를 기준으로 고르세요. 아래 표는 현장에서 가장 자주 쓰는 최소 스택과 각 도구의 체크포인트를 한눈에 정리한 것입니다.

카테고리 목적 핵심 기능 예시 도구 체크포인트
노코드 웹사이트 빌더 빠른 페이지 제작과 배포 컴포넌트 라이브러리, 반응형, 버전 관리 Webflow, Framer, 웨이브온 빌더 한 화면에서 텍스트/이미지 교체와 A/B 버전 복제가 쉬워야 합니다.
AI 카피/요약 및 생성 고객 언어 추출과 초안 작성 요약, 톤 변환, 다변형 헤드라인 ChatGPT, Claude, Jasper 고객 데이터(인터뷰/티켓) 업로드와 프롬프트 템플릿화가 가능한지 확인하세요.
애널리틱스와 태깅 성과 측정과 퍼널 분석 이벤트 트래킹, 채널별 비교 GA4, Mixpanel, GTM 폼 시작/완주, CTA 클릭 등 핵심 이벤트가 스키마로 정의되어야 합니다.
A/B 테스트 매니저 실험 설계와 트래픽 분배 스플릿, 노출 균등, 통계 검정 VWO, Optimizely 실험 전 이벤트 정상 기록 여부를 미리 검증할 수 있어야 합니다.
자산 최적화(CDN/이미지) 로딩 속도 개선 자동 리사이즈, 포맷 변환, lazy-load Cloudflare Images, imgix, Squoosh 영웅 이미지는 100KB 이하, 섹션 배경은 50KB 이하 목표를 지킬 수 있어야 합니다.
협업/리뷰 빠른 피드백 순환 주석, 버전 노트, 태스크링크 Figma, Notion, Linear 변경 이력과 가설/결과 링크가 한 스레드에 모이도록 운영하세요.

표의 항목을 모두 도입할 필요는 없습니다. 이번 주에 반드시 필요한 최소 항목만 선택해 시작하고, 실험이 굴러가기 시작하면 그때 결핍을 채우는 방식이 속도와 품질을 동시에 지키는 데 유리합니다. 특히 퍼포먼스와 관련해서는 구글의 Core Web Vitals 가이드가 좋은 기준이 됩니다. 핵심 임계값인 LCP 2.5초 이내, INP 200ms 이내, CLS 0.1 이하를 충족하는지 확인하세요. Source: Google web.dev

정보 구조와 와이어프레임: 처음 3시간에 결정할 것

첫날 오전에는 정보 구조를 확정하는 데 시간을 집중하세요. 여기서는 “무엇을 먼저 보여줄지”가 전환 퍼널을 사실상 결정합니다. 헤드라인에서 핵심 약속을 분명히 하고, 바로 이어서 신뢰의 단서를 보여주며, 오퍼와 행동 유도(CTA)를 노출하는 기본 뼈대를 정리합니다. 이때 좋은 기준은 “스크롤 첫 화면만으로 고객이 ‘무엇을 얻는지’를 설명할 수 있는가”입니다. 가능하면 타깃 고객의 언어를 그대로 쓰세요. 내부 용어를 정리하는 데 시간을 쓰는 순간, 읽는 사람과의 거리가 벌어집니다.

와이어프레임은 종이에 펜으로 그려도 충분합니다. 중요한 것은 그릴 때부터 컴포넌트 단위로 생각하는 것입니다. 히어로, 벨리데이션(리뷰/로고), 문제-해결 구조, 기능-이점 페어링, 소셜 프루프, 가격/플랜, FAQ, 푸터와 같은 모듈을 배치하고, 각 모듈의 한 줄 목표를 적어 둡니다. 이렇게 해야 노코드 빌더에서 컴포넌트를 재조합하며 빠르게 실험할 수 있습니다.

와이어프레임 스케치와 웹사이트 빌더 화면을 비교하며 랜딩 페이지 구조를 설계하는 디자이너

이 시점에 ‘바이브 코딩’을 염두에 두면 이후 디자인 속도가 크게 빨라집니다. 브랜드의 감정선과 톤을 색, 서체, 여백, 인터랙션 밀도 같은 토큰으로 정의해 두면, 같은 정보 구조라도 전혀 다른 분위기의 두세 버전을 즉시 만들 수 있습니다. 웨이브온에서 자주 쓰는 방식은 “담백-자신감-따뜻함”처럼 3가지 바이브를 미리 약속하고, 각 바이브에 맞는 토큰 세트를 준비해 두는 것입니다. 필요하면 사전에 정리된 바이브 코딩 가이드를 팀 공용 문서로 공유해 합의를 빠르게 만드세요.

카피라이팅: AI와 사람이 함께 쓰는 방법

카피는 사람의 머릿속에서만 나오지 않습니다. 고객 인터뷰, 세일즈 콜 녹취, 고객 지원 티켓은 “고객이 실제로 쓰는 표현”이 담긴 보고서입니다. AI는 이런 자료를 요약하고 패턴을 뽑아내는 데 탁월합니다. 예를 들어 상위 20개의 문장을 요약해 “가장 자주 등장하는 문제-이득 표현”을 뽑아내고, 그 표현을 헤드라인 후보에 녹여 보세요. 이 단계에서 AI가 제안한 헤드라인 10개를 그대로 쓰려 하지 말고, 고객 언어와 브랜드 바이브 사이의 간극을 사람이 매만지는 것이 핵심입니다.

히어로 섹션의 한 줄은 “고객의 현 상태에서 기대 상태로의 이동”을 약속해야 합니다. “우리의 기능”이 아니라 “당신이 얻는 변화”를 말하세요. 서브헤드라인에는 구체성과 신뢰의 단서를 섞습니다. 예를 들어 “개발 의존도 0, 일주일 안에 실험 가능한 랜딩 페이지”처럼 시간과 제약, 결과를 동시에 제시하면 읽는 사람의 판단이 빨라집니다. 폼과 관련된 마찰을 줄이는 카피와 흐름 설계는 닐슨 노먼 그룹의 권장사항을 참고하면 기본기를 갖출 수 있습니다. Source: Nielsen Norman Group

AI 카피 제안 기능으로 랜딩 페이지 문구를 생성하는 장면

AI가 만든 문장은 초안일 뿐입니다. 우리가 현장에서 가장 많이 하는 일은 “AI가 제안한 문장에 진짜 숫자를 끼워 넣는 것”입니다. 실제 고객 수치, 평균 구현 시간, 절감 비용, 전환율 변화 같은 구체적인 데이터를 추가하면 카피는 갑자기 살아납니다. 이 데이터가 아직 없다면, 정확한 조건을 달고 범위를 명시하세요. “초기 베타 고객 12곳 기준, 한 달 평균 27% 전환율 상승”처럼 맥락을 정직하게 노출하는 것이 신뢰에 도움이 됩니다.

디자인과 성능 최적화: 노코드와 AI 환경에서 전환율 높은 랜딩 페이지는 가벼움이 이긴다

디자인을 시작할 때 픽셀보다 토큰을 먼저 결정하면 속도가 빨라지고 일관성이 유지됩니다. 헤드라인 크기, 바디 텍스트 라인 길이, 기본 컬러 대비, CTA 높이와 그림자 강도 같은 요소를 바이브 코딩으로 묶어 두면, 페이지 전반의 공기감이 한 번에 정리됩니다. 이때 인터랙션은 과감히 줄이는 편이 성능 면에서 유리합니다. 특히 초기 실험 단계에서는 영웅 이미지와 증거 요소의 해상도, 폰트 로딩 전략, CSS/JS 번들 크기 같은 기초 성능 지표가 전환을 더 크게 좌우합니다.

퍼포먼스를 위해서는 이미지와 비디오 관리가 핵심입니다. 영웅 섹션 이미지는 100KB 이하, 섹션 배경은 50KB 이하를 목표로 하는 내부 운영 기준을 먼저 세우세요. 필요할 경우 고해상도 이미지는 스크롤 인뷰에 맞춰 지연 로딩하고, 형식은 AVIF/WEBP 우선, JPEG는 퀄리티를 엄격히 제한하세요. 웹폰트는 가변 폰트 1종 혹은 시스템 폰트 조합으로 시작하고, CLS를 막기 위해 preload와 font-display 전략을 명확히 하세요. 노코드 빌더에서도 이러한 설정을 컴포넌트 템플릿에 포함해 두면, 페이지가 늘어나도 성능이 무너지지 않습니다. 이미지 최적화의 기본 원칙은 구글의 학습서가 잘 정리되어 있습니다. Source: Google web.dev

웹사이트 퍼포먼스를 위해 이미지 최적화와 파일 압축을 진행하는 과정

이런 최소한의 최적화만으로도 체감 속도가 분명히 개선되는 경우가 흔합니다. 속도가 빨라지면 이탈률이 낮아지고, 그만큼 상단 카피가 읽힐 확률이 올라갑니다. 결과적으로 디자인의 미묘한 차이보다 성능의 기본기가 전환에 더 빠르게 기여합니다.

A/B 테스트와 실험 설계: 노코드 랜딩 페이지에서 작은 차이를 빠르게 검증하기

일주일이라는 한정된 시간에서 A/B 테스트는 “한 번에 하나만”을 원칙으로 해야 신뢰 가능한 결론을 얻습니다. 첫 실험은 히어로 섹션의 헤드라인 혹은 CTA 텍스트처럼 영향도가 큰 요소로 시작하세요. 이때 샘플 사이즈가 충분하지 않다면 결과는 참고값에 불과합니다. 그래서 우리는 보통 “7일-7천 방문” 혹은 “최소 300회 클릭” 같은 내부 기준을 정해, 기준 전에는 결과를 의사결정 근거로 사용하지 않습니다.

테스트 버전을 만드는 과정에서 노코드 빌더의 강점이 빛납니다. 동일한 레이아웃에 텍스트와 증거 요소만 교체해 두 버전을 만들고, 트래픽을 균등 분배하세요. 디자인 차이가 크면 결과 해석이 어려워집니다. 또한 이벤트 트래킹은 테스트 시작 전에 꼭 검증해야 합니다. 클릭, 스크롤, 폼 제출 같은 핵심 이벤트가 두 버전에서 동일하게 기록되는지 미리 점검하지 않으면, 테스트는 숫자 놀이로 끝납니다. 실험 설계의 기본 개념은 Optimizely의 리소스가 구조 잡기에 유용합니다. Source: Optimizely

A/B 테스트 대시보드에서 두 가지 랜딩 페이지 버전의 성과를 비교 분석하는 마케터

이렇게 단순한 실험을 여러 번 반복하는 편이, 복잡한 멀티버리엇 테스트 하나보다 학습 속도가 빠릅니다. 또한 실패한 실험의 기록을 남겨야 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습니다. 무엇을 바꿨고, 왜 그렇게 했으며, 결과가 어땠는지 한 줄로 정리하면 다음 실험의 출발선이 높아집니다.

측정과 학습: AI 랜딩 페이지 애널리틱스로 다음 주를 더 잘 만들기

어떤 도구를 쓰든 측정 기준은 명확해야 합니다. 랜딩 페이지의 1차 목표가 리드 생성이라면, 우리는 보통 “히어로 CTA 클릭률, 폼 시작률, 폼 완주율”을 핵심 파이프라인으로 봅니다. 상단에서 클릭이 나오지 않으면 메시지 혹은 오퍼 문제일 가능성이 큽니다. 클릭은 나오는데 폼 시작이 적다면 마찰(필드 수, 개인정보 우려)이 문제일 수 있고, 시작 대비 완주가 낮다면 설계의 단계 전환에 이슈가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실시간 데이터를 통해 급격한 변화를 빠르게 포착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광고 세팅이 바뀌었거나 외부 언급으로 트래픽 성격이 달라지면, 같은 페이지가 다른 결과를 냅니다. 따라서 채널별 세션 품질을 같이 봐야 하고, UTM 파라미터 정리가 실험만큼 중요합니다. 7일 동안은 매일 같은 시간대에 같은 보기로 데이터를 확인하세요. 규칙적인 리듬이 데이터 감을 만듭니다. 도구 선택 단계에서 GA4의 속성 구조와 이벤트 모델을 미리 익혀 두면, 이후 리포트 표준화가 훨씬 수월합니다. Source: Google Analytics 4

구글 애널리틱스 실시간 트래픽과 전환 데이터를 확인하는 장면

데이터를 봤다면 반드시 페이지에 반영하세요. 예를 들어 모바일에서 히어로 영역 아래로 바로 이탈한다면 첫 화면의 정보 밀도를 낮추고, CTA를 더 접근 가능한 위치로 이동합니다. 데스크톱에서는 리뷰 로고의 가독성을 높이고, 모바일에서는 슬라이더 대신 단일 증거를 고정 노출하는 식으로 채널-디바이스별 최적화가 필요합니다. 더 많은 실제 개선 사례는 웨이브온의 고객 사례 모음에서 확인하고, 이번 주 실험에 적용할 힌트를 골라보세요.

팀 운영과 정렬: 작은 팀이 큰 결과를 내는 워크플로

작은 팀이 일주일 안에 결과를 내려면 역할이 아니라 산출물 중심으로 움직여야 합니다. 카피, 디자인, 빌드, 데이터 설정이 하루 단위로 이어지도록 캘린더를 쪼개고, 모든 산출물을 한 곳에서 리뷰하세요. 이때 ‘바이브 코딩’ 토큰과 컴포넌트 라이브러리가 팀 공용 언어 역할을 합니다. “헤드라인 H1-강조, 버튼 Primary-높음 대비”처럼 합의된 토큰을 쓰면, 피드백은 더 짧고 정확해집니다.

외부 이해관계자와의 정렬도 중요합니다. 초기 데모에서 “왜 이렇게 단순한가요?”라는 질문을 받을 수 있는데, 이때 우리는 실험 가설과 측정 계획을 먼저 보여줍니다. 디자인의 화려함보다 학습 계획이 탄탄하다는 확신을 주면 의사결정이 빨라집니다. 또한 데모에서 바로 텍스트를 수정해 보는 라이브 편집은 강력한 동기 부여가 됩니다. 노코드 빌더의 장점은 여기서 최고로 발휘됩니다. 제품 팀이라면 사전에 노코드 웹사이트 빌더 소개 페이지를 공유해, 어떤 변경이 실시간으로 가능한지 기대치를 맞추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소상공인에게 웹사이트 빌더 대시보드를 시연하는 고객 성공 매니저의 화상 미팅

웨이브온에서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는 데모 이후 24시간 안에 수정 버전을 공유하고, 48시간 안에 첫 테스트를 시작합니다. 이 초기 탄력이 유지되면 캠페인 전체가 “계획-빌드-학습”의 선순환으로 들어갑니다. 팀이 작아도 큰 결과를 내는 비결은 이 리듬을 지키는 데 있습니다.

7일 실행 예시: 우리가 권하는 최소 루프

첫 실행 주간은 “완성”이 아니라 “학습 가능한 상태”를 만드는 데 초점을 맞추면 스트레스가 줄고 속도는 올라갑니다. 아래 체크리스트는 우리가 가장 많이 쓰는 7일 루프를 단계별로 정리한 것입니다. 각 단계는 완료의 정의(DoD)가 분명하고, 다음 단계로 넘어가기 전에 검증 포인트가 포함되어 있어야 합니다.

  1. 1일차 오전에는 핵심 오퍼와 타깃 세그먼트를 확정하고, 스크롤 첫 화면에서 전달할 메시지의 한 문장을 합의합니다.
  2. 1일차 오후에는 종이 와이어프레임으로 모듈 배치를 확정하고, 노코드 빌더에서 빈 상태의 섹션 템플릿을 생성합니다.
  3. 2일차에는 AI로 카피 초안을 3안까지 생성한 뒤 고객 언어와 바이브 토큰에 맞게 다듬어 첫 버전을 빌드합니다.
  4. 3일차에는 이미지·폰트·스크립트 최적화를 적용하고, GA4/GTM 이벤트 스키마를 설정해 테스트 데이터로 수집을 검증합니다.
  5. 4일차에는 히어로 헤드라인 또는 CTA 텍스트를 변수로 한 A/B 테스트를 생성하고, 트래픽을 50:50으로 분배해 노출을 시작합니다.
  6. 5~6일차에는 채널별 세션 품질과 퍼널 지표를 일자·디바이스 기준으로 점검하며, 이상치와 데이터 누락 여부를 확인합니다.
  7. 7일차 오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지 판단 기준을 적용해 결과를 읽고, 다음 주의 단일 가설과 변경 항목을 확정합니다.

이 체크리스트를 그대로 따르기보다, 팀 상황에 맞게 시간을 압축하거나 늘리는 것이 좋습니다. 중요한 것은 각 단계마다 “다음 단계로 넘어갈 최소 조건”을 명확히 정해두고, 그 기준만큼은 타협하지 않는 운영의 일관성입니다.

마치며: 완벽 대신 반복 가능한 속도를 택하세요

일주일 안에 전환율 높은 랜딩 페이지를 만들기 위한 핵심은 한 문장으로 정리됩니다. “작게 시작해 빠르게 검증하고, 배운 것을 즉시 반영하라.” 이를 가능하게 하는 토대는 최소 스택으로 시작하는 도구 선택, 모듈형 정보 구조와 바이브 토큰, AI로 속도를 끌어올리고 사람으로 정교함을 더하는 카피 프로세스, 그리고 성능 최적화와 단일 변수 A/B 테스트가 맞물린 학습 루프입니다. 여기에 히어로 클릭률-폼 시작률-완주율로 이어지는 간단하고 일관된 측정 체계를 더하면, 팀은 논쟁이 아니라 데이터로 대화하게 되고, 하루 단위의 “결정-빌드-리뷰” 리듬이 자연스럽게 자리 잡습니다.

이제 바로 적용할 수 있는 다음 행동을 제안합니다. 오늘은 목표 오퍼와 단일 세그먼트를 정하고 첫 화면에서 줄 한 문장을 합의하세요. 내일은 종이 와이어프레임으로 모듈을 배치하고 노코드 빌더에 템플릿을 열어 둔 뒤, AI로 헤드라인 3안을 뽑아 실제 숫자를 끼워 넣어 다듬으세요. 48시간 안에 첫 버전을 배포하고, GA4/GTM으로 히어로 클릭-폼 시작-완주 이벤트를 반드시 검증하세요. 4일차에는 헤드라인 혹은 CTA 텍스트 하나만 바꾼 A/B 테스트를 시작하고, 매일 같은 시간 20분씩 결과를 리뷰하며 다음 수정 사항을 한 가지씩 확정하세요.

처음 한 바퀴를 돌리면 두 번째는 더 빠르고, 세 번째부터는 팀의 습관이 됩니다. 노코드와 AI, 그리고 바이브 코딩은 “완벽한 한 번”이 아니라 “정확한 여러 번”을 위한 도구입니다. 지금 가진 자료로 첫 버전을 띄우고, 내일 아침 데이터를 보며 한 줄을 고치세요. 이 소소한 반복이 한 달 뒤 전환 그래프를 바꾸는 가장 현실적인 방법입니다.

노코드 인사이트를 무료로 받아보세요

웨이브온 뉴스레터 구독하기

*email을 입력해주세요

Waveon Banner Image

관련된 아티클

노코드와 AI로 전환율 높은 랜딩 페이지를 7일 안에 만드는 실전 가이드
Marketing

노코드와 AI로 전환율 높은 랜딩 페이지를 7일 안에 만드는 실전 가이드

새 캠페인을 시작하려는데 디자이너는 바쁘고, 개발자는 스프린트가 꽉 차 있고, 카피도 아직 정리되지 않은 상황을 한 번쯤 겪어보았을 겁니다.그런데 런칭 날짜는 다가오고, 예산은 한정적이며, 무엇보다 학습을 위한 데이터가 필요합니다. 이럴 때 노코드 웹사이트 빌더와 AI 자동화는“이번 주 안에 가능한가요?”라는 질문에 현실적인 “가능합니다”를 만들어 줍니다. 이 글은 여러분 팀이 7일 안에 전환율이 검증 가능한 랜딩페이지를 만드는 방법을, 우리가 현장에서 반복해 온 방식 그대로 풀어낸 실전 가이드입니다. 필요하면 지금 바로 노코드 웹사이트 빌더와 AI 랜딩페이지 생성기, 그리고 바이브 코딩 접근을 함께 세팅해 보세요. 이 과정의 핵심은 속도만이 아닙니다. 빠르게 만드는 만큼, 정확하게 배워서 다음주를

노코드 예약 시스템 만들기: 구글 캘린더 연동과 알림 자동화까지 단계별 가이드
Marketing

노코드 예약 시스템 만들기: 구글 캘린더 연동과 알림 자동화까지 단계별 가이드

전화나 DM으로 예약을 받다 보면 같은 시간에 두 팀이 잡히거나, 고객이 약속을 깜빡해 노쇼로 이어지는 일이 반복됩니다. 이 글은 그런 혼선을끝내고, 노코드 예약 시스템 만들기를 통해 1시간 안에 MVP를 구축하는 실전 가이드입니다. 구글 캘린더와 아웃룩 캘린더 양방향 동기화,이메일·SMS·카카오 알림 자동화, 팀 협업과 보안, 법적 준수까지 놓치기 쉬운 부분을 실제 운영 관점에서 설명합니다. 소규모 매장부터 B2B데모 팀, 교육·헬스 분야까지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예시와 체크리스트를 담았고, 하루 안에 실행 가능한 설계와 운영 팁으로 성과를 만들어보세요. 노코드 빌더를 고르는 기준과 첫 설정 팁은 내부 가이드인 “노코드 웹사이트 빌더 선택과 비교”에서도 자세히 확인할 수있습니다(/blog/no-c

바이브 코딩이란? 개념, 작동 방식, 장단점과 시작 가이드
Marketing

바이브 코딩이란? 개념, 작동 방식, 장단점과 시작 가이드

바이브 코딩이란? 최근 개발자들이 가장 많이 묻는 질문 중 하나입니다. 복잡한 명세서를 먼저 쓰기보다 자연어로 의도를 설명하고, 그 “바이브”에맞춰 AI가 코드를 생성·수정·보완하는 방식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습니다. 이 글은 바이브 코딩이 무엇인지 한눈에 이해하고, 실무에 바로 적용할수 있는 워크플로, 프롬프트 패턴, 리스크 관리법, 팀 도입 체크리스트까지 모두 담았습니다. 핵심은 AI가 코드를 “대신” 쓰는 것이 아니라,여러분이 더 빠르게 더 좋은 결과에 도달하도록 “함께” 코딩하는 방법을 익히는 데 있습니다. 필요한 부분만 먼저 보고 싶다면 아래 섹션을참고하세요. 작동 절차는 ‘바이브 코딩 작동 방식과 기본 워크플로’, 프롬프트 예시는 ‘실전 예시와 프롬프트 패턴 모음’, 도입 방법은 ‘바이브코

초보자도 30분 만에 끝내는 노코드 웹사이트 GA4·메타 픽셀 이벤트 추적
Marketing

초보자도 30분 만에 끝내는 노코드 웹사이트 GA4·메타 픽셀 이벤트 추적

광고비를 쓰고 있는데 “어떤 채널에서 어떤 행동을 한 사람”이 전환으로 이어졌는지 모르면 금세 최적화가 막힙니다. 다행히 노코드 웹사이트라도GA4와 메타 픽셀을 제대로 설치하고, 딱 필요한 전환 이벤트만 잡아도 2~3주 안에 효율이 달라집니다. 이 글은 바로 오늘 30분 안에설치·검증하고, 핵심 이벤트를 설정해 광고 성과를 끌어올리려는 분들을 위한 실전 가이드입니다. 왜 이벤트 추적이 중요한가 광고 최적화의 핵심은“누가 전환했는지”가 아니라 “어떤 행동이 전환을 만들었는지”를 아는 겁니다. 이벤트 데이터는 단순 조회수 이상의 맥락을 제공합니다. 특히노코드 웹사이트를 쓰는 소규모 팀일수록, 소수의 지표로 빠르게 의사결정을 내려야 합니다. 리드 품질 개선과 예산 배분 최적화 모든 문의가 같은가치는 아닙

웨이브온으로 30분 만에 프로페셔널 웹사이트 만드는 법
Marketing

웨이브온으로 30분 만에 프로페셔널 웹사이트 만드는 법

노코드 웹 빌딩 소개 노코드 플랫폼이란? 노코드 플랫폼은 코드를 한 줄도 쓰지 않고 웹사이트나 앱을 만드는 도구예요. 개발자 도움 없이도드래그앤드롭, 템플릿, 컴포넌트 조합으로 빠르게 결과물을 만들 수 있습니다.당장 홈페이지가 필요한데 개발 리소스는 없고, 일정은 촉박한 상황에서특히 유용하죠. 현장에서 가장 많이 쓰는 노코드 빌더의 공통점은 이렇습니다. 시각적 편집기: 페이지를 보면서 바로 텍스트, 이미지, 버튼을 편집템플릿 라이브러리: 산업/목적에 맞는 기본 구조를 바로 불러오기 반응형 자동 적용: 모바일·태블릿·데스크톱에 맞게 자동 정렬 배포/호스팅일원화: DNS 연결부터 SSL까지 한 번에 소규모 비즈니스와 스타트업에 주는 이점 제가 스타트업 지원 프로젝트에서 본 패턴을 공유할게요.초기에는 다

코딩 없이 스타트업 웹사이트를 런칭하는 방법
Marketing

코딩 없이 스타트업 웹사이트를 런칭하는 방법

처음 웹사이트를 만들 때 “개발 리소스도 부족한데 어디서부터 시작하지?”라는 질문이 가장 많이 나옵니다. 다행히 이제는 코딩 없이도, 심지어하루 안에도 충분히 ‘괜찮은’ 수준의 스타트업 웹사이트를 런칭할 수 있습니다. 이 글은 웨이브온(Waveon)의 노코드 빌더와 AI를 활용해,기획부터 디자인, 콘텐츠, SEO, 퍼블리시, 그리고 사후 개선까지 한 번에 끝내는 방법을 순서대로 안내합니다. 참고로 검색 최적화를 위해 영어키워드 “launch startup website without coding”도 초반에 언급해둡니다. 처음 시작하는 모습을 이미지로 보면 감이더 잘 옵니다. 아래처럼 팀이 함께 아이디어를 정리하며 빠르게 초안을 세우는 흐름을 떠올려보세요. 이제 이 흐름을 실제 도구로 옮겨가는 과정만

No-Code vs Custom Coding: 우리 비즈니스에 맞는 선택은?
Marketing

No-Code vs Custom Coding: 우리 비즈니스에 맞는 선택은?

당장 다음 분기까지 신규 랜딩 페이지가 필요하고, 내부 개발 리소스는 부족하고, 예산은 제한적이라면 무엇을 선택하시겠나요? 노코드 도구로 빠르게만들지, 아니면 개발팀(또는 에이전시)에 커스텀 코딩을 맡길지. 이 글은 두 접근 방식을 실제 업무 관점에서 비교하고, 당신의 상황에서 어떤전략이 더 맞는지 판단하도록 돕기 위한 가이드입니다. Introduction to No-Code and Custom Coding 노코드와 커스텀코딩은 같은 목적(디지털 제품과 웹사이트 구축)을 향하지만, 방식과 투입 자원이 크게 다릅니다. 두 가지를 정확히 이해해야 올바른 결정을 내릴수 있습니다. Defining No-Code Tools 노코드 도구는 드래그 앤 드롭 UI, 미리 만들어진 컴포넌트, 템플릿, 워크플로우 자동

노코드 웹사이트 빌더로 매출을 늘리는 방법
Marketing

노코드 웹사이트 빌더로 매출을 늘리는 방법

노코드(Webflow, Wix, Squarespace, 그리고 국내의 웨이브온 등)로도 충분히 “매출이 나오는” 웹사이트를 만들 수 있을까요?결론부터 말하면, 가능합니다. 중요한 건 도구 자체보다, 그 도구로 얼마나 빠르게 실험하고 지속적으로 개선하느냐입니다. 이 글에서는 중소기업,스타트업, 마케팅 팀이 노코드 웹사이트 빌더와 AI를 활용해 실제 매출/리드를 늘리는 실전 방법을 단계별로 정리했습니다. “예쁘기만 한사이트”가 아니라 “전환이 일어나는 사이트”를 만드는데 바로 적용할 수 있도록 체크리스트, 예시, 실수 방지 팁까지 담았습니다. 노코드 웹사이트빌더란? 노코드 빌더는 개발 없이 시각적 인터페이스로 웹사이트를 만드는 도구입니다. 웹페이지 구성, 스타일링, 간단한 애니메이션, 폼, 통합까지드래

마케터가 웹 크롤링을 알아야 하는 이유
Marketing

마케터가 웹 크롤링을 알아야 하는 이유

웹 크롤링이란? 왜 마케터가 이를 알아야 하죠?웹 크롤링은 다양한 웹사이트에서 원하는 데이터들을 자동으로 추출하는 기술입니다. 약간의 개발지식이 필요하기 때문에 마케터가 배우지 못할 수도 있는 스킬이지만 한편으로 마케터에게 웹 크롤링은 매우 중요한 도구가 될 수 있습니다. 폭 넓은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마케팅 전략 수립에 필수적이며, 시장 조사와 경쟁사 분석 등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습니다. 웹 크롤링을 통해 마케터는대량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수집하고 분석하여 인사이트를 도출할 수 있습니다.마케터가 웹 크롤링을 사용하는 용도마케터들은 웹크롤링을 다양한 용도로사용하는데요. 아래와 같은 목적 때문에 시간을 들여 종종 웹 크롤링을 진행하곤 합니다.타 플랫폼 최저가 확인: 네이버나 쿠팡에 등록된 경쟁사의제

노코드 인사이트를 무료로 받아보세요

웨이브온 뉴스레터 구독하기

*email을 입력해주세요